안전 취약계층 재난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안전디자인 기술 개발
안전디자인
화재 대피시 자세를 낮추고 벽을 짚어 비상구로 대피하는 행동요령은 평소 훈련할 기회가 적어 행동 유도가 어렵다는 점에 착안하여 화재 발생 시 성인 및 어린이도
대피 자세를 쉽게 모방할 수 있도록 벽면에 대피 일러스트레이션을 제공하고 정전 시에도 발광이 가능하도록 야광도료 등으로 제작하도록 개발하였다.
기존 피난안내도는 문구 위주의 설명과 복잡한 도면 표현으로 대피 경로 및 현재 위치 파악이 어렵다.
이에 대피자의 정면 방향을 기준으로 현재 위치에서 비상구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3D 형태의 지도 제작을 통해 현 위치에서 빠른 대피 경로를 한 눈에 파악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건물 내부, 지하공간에 설치된 일체형 방화벽은 일부만 스티커나 형광페인트로 비상구 표시가 되어 있어 위급 시 인지하기 어렵다는 점을 착안하여 비상구에 대한 시인성을 높여 노란색과 손바닥 심볼을 통해 비상구 인지 및 행동 유도를 하도록 개발하였다.
현 비상구 유도등은 비상구 심볼 혹은 화살표를 추가한 형태로만 사용되고 있어 비상구까지의 거리를 알려주는 정보는 제공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기존 비상구 심볼을 활용하여 비상구까지 남은 거리를 표시하고 거리에 따른 길이 차이를 통해 비상구 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비상구 표시를 벽면 혹은 천장에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 바닥면을 이용해 설치 가능한 바닥면 비상구 표지와 다중이용시설 등 혼잡한 장소에서 비상구 혹은 외부 출구로 나가는 길 안내를 위한 유도선 표지도 개발하였다.
다중밀집지역에서 인파가 몰렸을 경우 심부를 보호해 폐가 숨 쉴 수 있는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평소에 습득하거나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중 밀집이 자주 이루어지는 골목에 심부 보호 자세 안내 그래픽 설치를 통해 평상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위급시 신속히 따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일러스트레이션을 개발하였다.
좁은 골목길 진입 시 주변인과 어느 정도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지 직관적인 인지가 어렵고 군중 밀집도가 제곱미터(㎡)당 5명 이상이면 위험하다는 연구결과(G.keith Still)를 참고하여 바닥에 1㎡ 범위 안에서의 간격 확인이 가능한 일러스트레이션을 설치하여 평상시 밀집도가 가능하도록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보행자·자전거 겸용 통행로 사인에 명확한 지시선 표시 없이 설치되어 있어 지속적인 충돌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일정 구간마다 보행자 통행로는 발자국 그래픽, 자전거 통해로는 바퀴자국 그래픽을 통해 통행로를 구분하여 자연스럽게 통행로를 구분할 수 있도록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전통시장에서 보행자, 이륜차 구분 없이 혼잡하게 통행이 이루어지는 장소에서 통행 유도사인 및 안내선이 부재한 점을 착안하여 보행자는 양쪽으로 통행하고 이륜차는 중앙으로 통행을 유도하도록 하고 시인성이 높은 노란 실선과 이륜차 그래픽을 활용하여 바닥에 유도선을 표시하여 동선을 분리하고 충돌 방지를 유도하는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에스컬레이터 탑승 시 안전정보 안내 부착물은 게시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안전행동으로 이어지기 어렵다. 이에 에스컬레이터 이용 안전을 위해 핸드 레일을 잡도록 레인 부분에 손바닥 모양을 일정 구간마다 부착하여 핸드 레일을 잡을 수 있도록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기존 소화기 위치 안내 표지는 제한된 공간을 이용해 소화기 위치를 안내하고 있어 직관성 및 시인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소화기 설치 장소에 따라 표시 방법을 다양하게 디자인하였다.
우선 전통시장은 소화기가 H빔 기둥 홈에 넣어 있어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소화기가 설치된 H빔 기둥을 눈에 잘 띄도록 빨간색으로 도색하고 기둥면에 소화기 그래픽을 노란색 바탕에 넣어 시인성을 강조하였다.
기둥면이 좁아 소화기 그래픽을 활용하기 어렵거나 기둥 도색이 어려운 경우 기둥 상부에 띠를 둘러 소화기 위치를 표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기둥이 없거나 벽면에 소화기 표시가 어려운 경우 바닥면을 활용하여 소화기 위치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소화기 그림은 KS S ISO7010 소화기 이미지를 활용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기존 소화기 안내표지는 작동법이 직관적이지 않고 문자로 되어 있어 긴급상황시 활용성을 고려하지 않은 점을 착안하여
소화기가 설치된 벽면에 사용법을 표기하여 소화기 사용 순서를 간소화하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상황 대처가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재난 발생 상황과 생활 안전에서 안전취약계층을 고려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시인지성이 높은 그래픽 심볼을 개발하였다.
심볼 | ![]() |
![]() |
![]() |
![]() |
![]() |
![]() |
![]() |
---|---|---|---|---|---|---|---|
설명 | 가뭄 | 낙뢰 | 조류대발생 | 폭염 | 한파 | 해수면상승 | 황사 |
심볼 | ![]() |
![]() |
![]() |
![]() |
![]() |
![]() |
![]() |
설명 | 자연우주물체의 추락ㆍ충돌 |
산사태 | 지진 | 화산활동 | 강품 | 대설 | 침수 |
심볼 | ![]() |
![]() |
![]() |
![]() |
![]() |
![]() |
![]() |
설명 | 태풍 | 호우 | 홍수 | (폭풍)해일 | 조수 | 지진해일 | 풍랑 |
심볼 | 설명 | 심볼 | 설명 |
---|---|---|---|
![]() |
가뭄 | ![]() |
낙뢰 |
![]() |
조류대발생 | ![]() |
폭염 |
![]() |
한파 | ![]() |
해수면상승 |
![]() |
황사 | ![]() |
자연우주물체의 추락ㆍ충돌 |
![]() |
산사태 | ![]() |
지진 |
![]() |
화산활동 | ![]() |
강품 |
![]() |
대설 | ![]() |
침수 |
![]() |
태풍 | ![]() |
호우 |
![]() |
홍수 | ![]() |
(폭풍)해일 |
![]() |
조수 | ![]() |
지진해일 |
![]() |
풍랑 |
심볼 | ![]() |
![]() |
![]() |
![]() |
![]() |
![]() |
![]() |
---|---|---|---|---|---|---|---|
설명 | 도로교통사고 | 유도선사고 | 철도지하철사고 | 항공사고 | 해상사고 | 해양선박사고 | 가스폭발사고 |
심볼 | ![]() |
![]() |
![]() |
![]() |
![]() |
![]() |
![]() |
설명 | 산불 | 폭발 | 화재 | 건축물붕괴 | 댐붕괴 | 공동구재난 | 생활제품사고 |
심볼 | ![]() |
![]() |
![]() |
![]() |
![]() |
![]() |
![]() |
설명 | 승강기사고 | 식용수 | 식품사고 | 안전취약계층사고 | 에너지(정전 및 전력부족) | 전기가스사고 | 금융안전 |
심볼 | ![]() |
![]() |
![]() |
![]() |
![]() |
![]() |
![]() |
설명 | 농어업사고 | 사업장산재 | 보건의료재난 | 의료제품사고 | 가축전염병 | 감염병 | GPS전파혼선재난 |
심볼 | ![]() |
![]() |
![]() |
![]() |
![]() |
![]() |
![]() |
설명 | 인공우주물체추락 | 정보통신사고 | 공연장사고 | 등산레저사고 | 물놀이사고 | 범죄 | 어린이놀이시설사고 |
심볼 | ![]() |
![]() |
![]() |
![]() |
![]() |
![]() |
![]() |
설명 | 인파사고 | 자살 | 원전사고(방사능재난) | 화생방사고 | 화학물질사고 | 대규모수질오염사고 | 미세먼지 |
심볼 | ![]() |
![]() |
|||||
설명 | 토양오염사고 | 해양오염사고 |
심볼 | 설명 | 심볼 | 설명 |
---|---|---|---|
![]() |
도로교통사고 | ![]() |
유도선사고 |
![]() |
철도지하철사고 | ![]() |
항공사고 |
![]() |
해상사고 | ![]() |
해양선박사고 |
![]() |
가스폭발사고 | ![]() |
산불 |
![]() |
폭발 | ![]() |
화재 |
![]() |
건축물붕괴 | ![]() |
댐붕괴 |
![]() |
공동구재난 | ![]() |
생활제품사고 |
![]() |
승강기사고 | ![]() |
식용수 |
![]() |
식품사고 | ![]() |
안전취약계층사고 |
![]() |
에너지(정전 및 전력부족) | ![]() |
전기가스사고 |
![]() |
금융안전 | ![]() |
농어업사고 |
![]() |
사업장산재 | ![]() |
보건의료재난 |
![]() |
의료제품사고 | ![]() |
가축전염병 |
![]() |
감염병 | ![]() |
GPS전파혼선재난 |
![]() |
인공우주물체추락 | ![]() |
정보통신사고 |
![]() |
공연장사고 | ![]() |
등산레저사고 |
![]() |
물놀이사고 | ![]() |
범죄 |
![]() |
어린이놀이시설사고 | ![]() |
인파사고 |
![]() |
자살 | ![]() |
원전사고(방사능재난) |
![]() |
화생방사고 | ![]() |
화학물질사고 |
![]() |
대규모수질오염사고 | ![]() |
미세먼지 |
![]() |
토양오염사고 | ![]() |
해양오염사고 |